논리회로_공부일지
컴퓨터 아키텍쳐 책에 두 번째 단원이 논리회로(logic circuit)이다. 그런데 다른 자료를 찾아보고 보면 볼수록.. 내가 모르는 미지의 세계가 쓰나미처럼 몰려오는 기분이다. 이번 공부일지는 사실상 어떤 내용을 '알았다'는게 아니라.. 앞으로 논리 회로를 공부하는데 있어서의 방향을 몇 개 느낄 수 있었다, 정도로 서술하려 한다.
논리회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것
- "논리회로의 중요함"에 대한 생각
- "논리회로가 실행됨(implemented)"에 대한 생각
- "논리회로를 설계(design)"에 대한 생각
1. 복잡해보이는 논리회로를 만날 때, 그 이면에 있는 '기초적인 것'을 생각하기
이 책 에서 말하기를,
It explains the key ideas with simple examples and shows how complex circuits can be derived from elementary ones.
(나름의 해석) 책은 복잡해보이는 회로들이 어떻게 기초적인 것들로부터 이끌어내지는지 보여준다.
음.. 복잡한 것을 기초적인 것으로부터 이끌어내고, 그것을 공부한다는 사실은 큰 방향에 있어서 매우 흥미롭게 느껴졌다.
2. 논리회로라면 당연히 가지는, 기초적이고 본질적인 성질을 염두해두고 공부하기
역시 같은 책에서 말하기를,
We cover the classical theory used in the design of logic circuits in great depth because it provides the reader with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uch circuits.
(나름의 해석) 우리는 논리회로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고전적인 이론들을 아주 깊게 다룰 것이다. 그 이유는 그렇게 하는 것이 독자들로 하여금 논리 회로의 성질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3. 정보(information)는 컴퓨터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다뤄지는가?
역시 같은 책에서,
The reason that the name digital is used will become clear later in the book-it derives from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represented in computers, as electronic signals that correspond to digits of information.
(나름의 해석) 책 후반으로 가면 '디지털'이라는 이름이 사용되는 이유가 명확해질 것이다. -컴퓨터에서 전자신호는 특정한 정보에 해당하는 숫자들에 대응하고, 그로써 컴퓨터에 정보가 나타내지는데, 이 사실로부터 (디지털이라는 이름이 사용되는 이유가) 기인한다.
'represent'라는 단어는 참 추상적이고 오묘하다. 즉, 정보가 컴퓨터에서 나타내지는 것(represented in computers)도 굉장히 추상적으로 느껴지는데, 앞으로 공부하면서 어떻게 나타나게 될 지 정말 궁금하다.
4.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엄청난 듯..
집적회로에 트랜지스터가 수억개가 들어간다는 엄청난 사실을 알았다! 내가 쓰는 맥북에도 집적회로가 있을테고, 이 노트북이 그렇게 대단한 존재인지를 몰랐다는게 참..그랬다.
그런데 사실 난 트랜지스터도 잘 모른다. 다만 그것이 증폭 작용(전압이나 전류를 몇 배로 변환하는 것?)을 한다고 하니, IC(집적회로)에서도 그런 증폭작용이 수없이 많이 일어나겠구나..하고 추측만 한다.
이상 공학적 지식이 전무한 사람이 논리회로를 처음 접할 때 머릿속에 일어나는 현상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해봤다;;
'컴퓨터 과학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onstruction의 type은 왜 굳이 따로 정의되어야 하는지 궁금하다.. (0) | 2020.06.08 |
---|---|
진법에 대한 알 수 없는 의문이 생겼다 (0) | 2020.06.01 |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계다" (0) | 2020.05.23 |
논리 게이트에 대한 어수선한 생각;; (2) | 2020.05.17 |
<공부 일지> 2020.1.16 (0) | 2020.01.17 |